'백발마녀전'이라는 영화가 있다. 1980년대 홍콩영화에 빠져본 경험이 있는, 빠지지 않는 것이 더 힘들었던 세대에겐 장국영과 임청하의 영화로 기억될 것이다. 2014년에는 '대륙의 여신'이라는 판빙빙 주연의 '백발마녀전-명월천국' 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줄거리는 간략하게 이렇다. 무당파(派) 제자로 협(俠)의 길을 가는 남자 주인공이 어느 동굴에서 복수를 위해 무공 수련 중인 여자 주인공을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되고, 이런저런 사연 끝에 함께 죽는다는 내용이다.

여자는 이름이 없다. 없었다. 이름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다. 나를 불러주는 누군가를 위한 것이다. 관계 속에서만 이름은 의미를 갖고 존재할 수 있다.

 

판빙빙 주연으로 리메이크된 '백발마녀전 - 명월천국'의 포스터.

극중 탁일항이라는 이름의 남자 주인공은 복수를 위해 이름을 버린, 이름이 없는 여자 주인공에게 '예상'(霓裳)이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예'는 무지개를 '상'은 치마를 뜻하는 한자다. '무지갯빛 치마' 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이다.

예상, 무지갯빛 치마. 그냥 '예쁜' 이름이 아니다. 현세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암시한다. 저 유명한 당(唐) 현종과 양귀비의 고사에서 비롯된 말이다.

현종이 꿈속에서 무지개처럼 아름다운 옷을 입은 선녀가 춤을 추는 것을 본 뒤 꿈속의 광경에 곡(曲)을 붙여 음악을 만들게 한다. 이 곡이 바로 '무지개처럼 아름답고 깃털처럼 하늘하늘한 노래'라는 뜻의 '예상우의곡'(曲)이다.

예상우의무, 곡에 맞춘 춤의 주인공은 물론 양귀비였다. 예상우의곡은 현종과 양귀비의 달콤한 사랑의 은유인 것이다. 

영원할 것 같은 '달콤함'은 그러나 영원하지 못했다. 한때 현군이었던 현종이 양귀비에 빠져 정사가 어지러워지며 '안록산의 난'이 일어난다.

난을 피해 도망가는 현종에게 성난 민초들이 양귀비를 내놓으라고 으르렁댄다. 현종은 분노한 군중에 차마 사랑하는 이를 내놓지는 못하고 양귀비는 스스로 목을 맨다. 

고금과 동서를 통틀어 사랑노래 중에 가장 절창 가운데 하나인 당 시인 백거이의 '장한가'(歌)는 이를 소재로 탄생한다.

絲竹(완가만무응사죽/ 천천한 노래 천천한 춤이 비단과 피리에 어우러지니)
不足(진일군왕간부족/ 하루종일 보아도 임금에겐 부족하더라)
地來(어양고고동지래/ 어양 땅 북소리 땅을 흔들며 다가오니)
衣曲(경파예상우의곡/ 놀라 깨어졌구나, 무지갯빛 치마와 깃털옷의 노래여)

'어양'은 안록산이 난을 일으킨 본거지다.

깨어진 예상우의곡. 현종이 양귀비의 춤과 노래를 더이상 볼 수 없게 됐음을 뜻한다. 

황제와 귀비, 천하에 부러울 것이 없었던, 영원할 것만 같았던 달콤한 사랑이 끝난 것이다.

권불십년(權不十年)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붉은 꽃은 없다' 했다. 황제의 권세와 사랑 또한 그러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연합뉴스

박정희 정권 시절 30대에 '대한민국 검사'로 유신헌법을 기초하고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장을 거쳐 박정희가 총탄에 스러진 뒤에도 검찰총장으로, 법무부 장관으로, 국회의원으로 국회 법사위원장으로 그리고 마침내 일인지하 만인지상인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마찬가지로 '탁월한 미모'와 머리로 김앤장 변호사로, 씨티은행 부행장으로, 국회의원으로, 대통령의 최측근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장관으로.

한평생 양지에서 꽃길만 걸어왔던 김기춘, 조윤선 두 사람이 수의를 입고 구속기소됐다.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만들고 실행한 혐의다.

天下無不散的宴席(천하무불산적연석), '천하에 끝나지 않는 잔치는 없다'고 했다. 영원할 것 같았던 김기춘과 조윤선의 잔치도 끝났다.

꽃이 진다고 바람이 멈추는 것은 아니다. 김기춘, 조윤선의 끝난 잔치와 함께 '블랙리스트'로 상징되는 구태와 적폐도 함께 끝나길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 © 법률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